사회이슈

침묵시위마저 막히는 장애인들, '전장연 방지법'까지 추진하는 여당

 서울교통공사가 역사 내에서 침묵시위를 벌이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를 강제 퇴거시키는 강경 대응에 나섰다. 22일 서울 종로구 혜화역에서 819일차 출근길 지하철 침묵시위를 위해 모인 전장연 활동가와 연대 시민들은 집결 20분 만에 강제 퇴거 조치됐다. 이날 시위는 지하철을 타지 않고 역사 안에서 피켓을 들고 서 있는 형태로, 서울시에 권리중심일자리 최중증장애인노동자 400명 해고 철회와 서울대병원에 장애인 전담창구 마련 및 장애인 의무고용률 준수를 요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전장연은 이번 조치가 전날 서울시의 강경 대응 지침에 따른 것으로 해석했다. 전날 전장연은 장애인 권리 보장안 입법을 촉구하며 혜화역, 오남역, 선바위역에서 1년 만에 지하철 탑승 시위를 벌였고, 이에 서울시는 전장연을 형사고발하고 손해배상 및 업무방해 소송을 제기하겠다며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 등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여당에서도 전장연에 대한 강경 대응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은 "전장연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 처벌의 대상"이라며 "떼법으로 돌아가는 한국 사회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장연을 가중처벌할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전장연 방지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전장연 시위에 연대하는 시민들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21일 혜화역에는 300여 명(전장연 추산)의 시민들이 모여 지하철 탑승 시위를 가로막는 서울교통공사를 규탄했다. 이는 과거 최대 100여 명이 모이던 것에 비해 3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12월 24일 안국역 승강장에서 벌어진 전장연 '다이 인' 시위에도 300여 명의 시민들이 함께했으며, 소셜미디어에서도 전장연 시위 일정을 공유하며 연대의 뜻을 밝히는 이용자 수가 증가했다.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는 "전에 비해 연대 단위의 다양성도, SNS를 통해 시위에 참여하는 시민들의 수도 크게 늘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되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전장연'이라는 이름을 불러줬다. 이에 '장애인이 마땅히 지하철에 타야 한다'는 생각, 소수자의 권리 투쟁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장연은 '전장연 방지법' 추진 의사를 밝힌 김 의원에 대해 "무책임한 혐오정치 조장 발언을 쏟아내는 당신이야말로 퇴출 대상"이라고 반박했다. 성명을 통해 "존재를 공격함으로써 주목을 얻는 방식. 정치적 메시지를 만들기 위해 소수자를 제물로 삼는 전략. 그 길의 끝은 혐오정치"라며 "장애인을 혐오의 타깃으로 삼아 정치적 존재감을 쌓아온 이준석의 길을, 김재섭이 그대로 따라 걷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장연은 서울시의 탄압과 여당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시위를 계속하겠다는 방침이다. 박 대표는 "앞으로도 지하철 침묵 시위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라며 "다음 달 2일 제63차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한다"고 예고했다.